경기도 화성시 용주사.
신라 문성왕 16년 854년
갈양사라는 사명으로 창건되었는데
병자호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조선 정조 1790년에
용주사라는 사명으로 새롭게 거듭난 사찰이다.
도차문래(到此門來)
진리의 문안에 이르렀는가.
막존지해(莫存知觧)
분별에서 오는 생각의 걸림이란 이제 없다.
길이 곱다.
사진 왼쪽 길은
부모님의 열가지 은혜를 새긴
은혜의 길.
사진 오른쪽은
부처님의 일생을 보여주는
팔상도의 길.
길이 끝나갈 즈음에는
홍살문.
왕실의 능이나 원, 묘, 궁전 관아 등의 정면 입구에 세우는
이 홍살문은
경의를 표하는 경계에 들어섰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용주사가
정조에 의해 재건되고
사도세자의 위패를 모신 호성전이 있었기 때문에 세워졌다고 한다.
정조가
용주사를 재건할 당시의 양식이
아직도 보존되어 있다는 용주사.
그 문안의 세계가 궁금하다.
아.
해체공사.
너무 늦게 찾아왔다.
부처님 진신사리탑에 예배하고
해체중인 천보루는 다음으로 기약한다.
사찰 전체가 공사중이다.
이것도 인연이니
안타까움을 접는다.
대웅보전
현판은 정조의 글씨라 한다.
장식 하나하나가 무척이나 화려하다.
정조가
이 대웅보전 낙성식 전날밤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꾸어
사명을 용주사로 짓게 되었다 하는데
대웅보전 여기저기서
용두의 장식을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이곳의 특징이다.
천불전.
누구나 붓다가 될 수 있다는
법화경의 사상을 구현해 놓은 전각.
범종각의 범종.
국보 120호로 지정되어 있다.
여래와 좌우 보살이
범종 소리를 듣고
내려오신다.
시방칠등각.
다른 사찰에서는 칠성각이라 불린다.
삼존불과 함께
칠성, 산신, 독성탱화를 모셨다.
지장전.
호성전과 부모은중경탑.
호성전은
사도세자와 혜경궁홍씨
그리고 정조와 효의왕후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사진 왼쪽이
사도세자로 불리는 장조와
헌경왕후 혜경궁 홍씨의 위패이고
사진 오른쪽이
정조와 효의왕후의 위패이다.
전강영신대종사 사리탑.
오늘은 이곳이 제일 아늑하다.
바로 뒤에 선방이 있어서 그런지
공사하는 이들도
여기까지는 접근하지 않는다.
두런두런 말소리는 들린다.
더 늦기전에
효도해야 할텐데....
모든이들이 근심하는 일.
그렇다.
더 늦기전에
효도해야 할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