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TWkJ/btsHnJoaNIq/rWNjykuKC1WrNyt19yLHHK/img.jpg)
대정읍 모슬봉
![](https://blog.kakaocdn.net/dn/m5E3b/btsHmS0GXzc/7842Jlc6zXr5pafthYKW90/img.jpg)
대정읍 단산
인성리 마을 사람들은 모슬봉과 단산 사이의 '알뱅뒤'가 허하여 마을에 불이 자주 나고 가축이 병들어 죽는다고 생각하여 4기의 거욱대를 세워놓았다. ‘알뱅디’에 2기, ‘개 죽은 물’에 1기, 머논에 1기 등 총 4기를 세워놓았다.
![](https://blog.kakaocdn.net/dn/lRhLz/btsHnWOtdxf/Rf0b9nOL64jBJe43MC80N0/img.jpg)
인성리 방사탑 1호
방사탑은 거욱대, 탑다니, 탑대, 탑, 걱대 등으로도 불리는데 마을의 어느 한 방위에서 불길한 징조가 보인다거나 어느 한 지형의 기가 약하거나 부실한 곳에 기운을 보강하고 부정과 액운을 막으려고 마을에서 공동으로 쌓아올린 돌탑이다. 보통 방사탑은 바닷가나 하천의 가장자리, 농경지의 경계, 마을 안의 주택가, 소나무 숲 등에 세운다.
![](https://blog.kakaocdn.net/dn/5vc2o/btsHnKgjxkP/GcbB6V2jgNupKXKmjijMQk/img.jpg)
4기의 방사탑 중에서 지금은 동서의 2기만 남아있다. 사라진 2기는 1951년 한국전쟁 때 모슬포에 육군 제1훈련소 막사를 짓는 돌로 사용되어 없어졌다고 한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인성리 방사탑1호는 1951년 모슬포 육군 제1훈련소 막사를 만들 당시에 군인들에 의해 해체되어 방치되어 있었는데, 그 후에 마을에 계속하여 나쁜 일이 생기자 1959년에 마을 주민들이 다시 복원한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DAamU/btsHl2wgThy/NsxyIjdi3hyk4y7Ow33YYK/img.jpg)
인성리 방사탑 1호는 원통형으로 윗부분이 무너져 그 높이를 정확히 알 수 없었으나, 밑지름이 210cm로 남아있어서 2001년에 현재와 같이 복원하였다. 탑 위의 석상은 탑 옆에 따로 놓여 있었다고 한다.
복원 당시에 탑에 처음 돌을 올려놓는 사람은 그 명이 짧아진다고 하여 아무도 돌을 올려놓으려 하지 않자, 마을에서 가장 연세가 높으신 어른이 자기가 모든 액을 맡겠다며 나서서 첫돌을 올렸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jVLX9/btsHm1iMAi0/laeyY90BjD31wjGBzLSi40/img.jpg)
인성리 방사탑 2호
1호와는 약 100m 가량 떨어져 있으며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nldOa/btsHl7w8ZR4/mcm17gbWrsBvwjGpxRwzg1/img.jpg)
인성리 방사탑 2호는 남아있는 2기 중 서쪽에 있는 것인데 원통 모양으로 돌을 쌓아서 만들었다. 탑의 높이는 225cm, 밑의 지름은 230cm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Nn66p/btsHmHkrIRd/C8LUEMy4rlwXOGDjrk8qS0/img.jpg)
방사탑 위쪽에는 사람의 상체만 표현한 돌을 세워놓았다.
![](https://blog.kakaocdn.net/dn/ZcM7N/btsHmv5FS0t/Ew0YaRK78Qo5kfApuH1WR1/img.jpg)
인성리 방사탑 2호 안내문
![](https://blog.kakaocdn.net/dn/bsNpr2/btsHngGMYMR/bGfB8DnyTk0yhkKWOS4IXk/img.jpg)
2001년에 복원된 방사탑. 큰 돌로 밑단을 둥글게 만든 뒤 그 안에 잔돌을 채우고 다시 가장자리에 돌을 쌓아 원통형으로 쌓았다. 방사탑 위에는 사람이나 까마귀, 매 등의 형상을 올려놓는다.
![](https://blog.kakaocdn.net/dn/NOVvN/btsHn5R4oAP/fwdBADOsFkfCKEbRYvHkaK/img.jpg)
방사탑 안에는 밥주걱과 솥을 묻기도 한다는데 그것은 밥주걱으로는 밥을 긁어모아서 마을에 큰 복이 들어오게 해 달라는 뜻이고, 솥은 뜨거운 불에도 끄덕없으니 그처럼 마을이 어떤 액운으로부터도 안전하기를 바란다는 뜻이다.
![](https://blog.kakaocdn.net/dn/Lu8A5/btsHnheCqT3/BCT2u1nNHcy8m1dIcOuXeK/img.jpg)
모두가 안전하고 편안한 세상. 그것이 공동체 존재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