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HJV9K/btsIX19ck3a/05ABwes22S3fpWaENaekPk/img.jpg)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거돈사지. 거돈사는 현계산 기슭의 작은 골짜기를 끼고 너른 들판이 펼쳐진 곳에 조성되어 있다. 면적은 약 25,339㎡이다. 신라 9세기경 창건되었고 고려 초기에 대찰의 면모를 이룩하였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곳 거돈사지의 금당지(金堂址)에는 전면 6줄, 측면 5줄의 초석(礎石)이 보존되어 있어 본래는 20여 칸의 대법당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https://blog.kakaocdn.net/dn/Kb2gT/btsIYTP0kjh/bM0RXKanqn0KwNesj1EzQ0/img.jpg)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보물 제78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탑비는 고려시대 원공국사의 생전 행적을 기록한 비로서 원공국사 지종(智宗, 930∼1018)의 생애와 행적, 그의 덕을 기리는 송덕문이 담겨져 있다. 비석의 글은 최충, 글씨는 김거웅이 썼다.
![](https://blog.kakaocdn.net/dn/dOCeMX/btsIYvWhZzW/iXckAt1yNyIa5QB5B4eGuK/img.jpg)
탑비의 용
![](https://blog.kakaocdn.net/dn/diGzYJ/btsIX9eSqpz/jk3QIxFDW9TTEh97N2rBVk/img.jpg)
탑비의 이수에는 9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다. 정면 2마리, 측면 각 1마리, 후면 3마리, 이수 상면에 보주를 중심으로 2마리의 용 등 모두 9마리이다.
![](https://blog.kakaocdn.net/dn/vB0pU/btsIX21aWzY/0AapxJk5zhu3nyTAlwy3x1/img.jpg)
거돈사지의 삼층석탑
![](https://blog.kakaocdn.net/dn/Y9bgw/btsIXKmdCsI/Cvofrg5JpHtHLYxsCQt6NK/img.jpg)
돌로 된 축대 안에 흙을 쌓고 그 안에 탑을 세웠다. 이러한 양식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Up6Y7/btsIWSSPSNc/EFVie6MKoKg0uxxnxUMN01/img.jpg)
삼층탑
![](https://blog.kakaocdn.net/dn/dWzj8o/btsIWT5ek86/gonJt3khkPAgyAkukn6wUK/img.jpg)
삼층탑의 배례석. 어떤이들은 향공양을 올렸던 곳으로 보기도 한다. 크기는 135×85㎝이며, 연꽃무늬를 조각하였고, 전면과 측면에 안상(眼象)을 조각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bfxJbq/btsIX7OVGUy/bkTpZdkVAbP7qcF5LExyq0/img.jpg)
금당터. 중앙에는 높이 약 2m의 화강석 불좌대(佛坐臺)가 있다. 이 터에는 주춧돌의 원형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20여칸의 큰 법당이 있었음을 추정해 낼 수 있었다. 내부는 통층으로 2층 구조의 법당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https://blog.kakaocdn.net/dn/YkB09/btsIX21aWtE/A8x9Eth7Z4QxFlztc0sswk/img.jpg)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일제강점기에 서울에 사는 일본인이 훔쳐갔던 것을 1948년에 경복궁으로 옮겨서 보관하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으로 옮겼다. 이곳 거돈사지에는 그 모형이 조성되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CqCgB/btsIX3TnkLJ/HUta58tYRwG4o0ikY1h040/img.jpg)
원공국사 지종(智宗)은 고려 전기에 활동했던 법안종의 고승.
![](https://blog.kakaocdn.net/dn/rx9WY/btsIWSFjNak/evBSD3KX4Nsgk3NFRXmM2K/img.jpg)
원공국사승묘지탑(圓空國師勝妙之塔)
![](https://blog.kakaocdn.net/dn/QepSx/btsIWiEloCr/F0gV3zaMiFA7t3dPFIpqF0/img.jpg)
원공국사탑의 옥개석. 옥개석 하부 4단의 받침과 서까래, 옥개석 상면의 기와 지붕골, 지붕마루 끝자락의 망새 등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niwZU/btsIYz5jk7z/1vENhMYzPDV2gyWlf0URwK/img.jpg)
문비의 양쪽에는 사천왕상이 서 있으며, 살창도 조각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5HP03/btsIWuxP5bS/ZkR13XuxEDq4IG7EYbmkmk/img.jpg)
이 거돈사지 탑은 법천사지 지광국사현묘탑과 더불어 고려 전기 석조미술 양식을 파악하게 해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려 광종이 사망한 이후 경종·성종·목종대까지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부도탑이 만들어지지 않았는데, 이 원공국사탑은 그 시기를 지나 만들어진 탑으로 고려 부도탑의 변화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작품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