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가사의佛家思議291

문경 백운사 문경 봉암사 참배를 마치고 내려오다가 도로에 인접한 도량 하나를 만났다. 문경시 마성면 봉생마을 백운사. 도로쪽으로 사찰 입구와 요사채가 있었으나 도로 개설로 사라지고나서 지금과 같은 사찰 형태가 되었다. 대웅전 낮게 내걸린 연등. 극락보전. 극락보전 현판은 아마 주지스님이.. 2016. 5. 15.
문경 봉암사(2) 문경 봉암사에 희디흰 연꽃이 피어난다. 저마다 소원등을 달 때마다 활짝 피는 봉암사 연꽃.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 신라 헌강왕 879년 지증대사의 명성을 듣고 심층거사가 이 희양산 일대를 희사하여 수행도량으로 만들어 줄 것을 간청하자 이곳을 둘러본 지증대사가 산이 병풍처럼 사.. 2016. 5. 15.
문경 봉암사(1) 2016년. 사월초파일 새벽. 문경 봉암사를 향해 달리고 있다. 경북 문경시 가은읍 희양산 봉암사. 1982년 조계종 특별 수도원으로 지정된 이후 사월초파일에만 들어설 수 있는 문. 산문 앞을 떠돌던 모든이들을 돌려보내던 문지기도 오늘은 일이 없다. 시원하게 뚫린 솔숲 길. 5월인데 여전히 .. 2016. 5. 15.
전남 장성 수록사 전남 장성 팔암산 수록사로 가는 길. 겨울비를 맞는 차밭. 향기가 젖어 상큼하다. 장성군 삼계면 수옥리 수록사. 백양사의 말사이다. 시절인연이 도래하였는지 이 터에서 땅에 묻혀있던 금불상이 발견되자 이곳이 옛 절터임을 깨달은 땅주인이 백양사에 3천여평의 땅을 시주하면서 창건.. 2016. 1. 22.
전남 함평 용문사 겨울비가 내린다. 사찰은 더욱 고즈넉해진다. 전남 함평군 해보면 금계길 용문사.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봉안하고 지장보살과 관세음보살을 좌우협시한 대웅전의 모습. 산신각. 원래의 용문사는 이곳에서 산으로 더 깊숙히 들어간 곳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박정희정권 시대에 간첩을 소탕.. 2016. 1. 22.
전남 함평 용천사 전남 함평 모악산 용천사로 왔다. 산야를 덮은 꽃무릇. 9월에 꽃을 피우고 10월에 꽃이 지면 잎이 돋아 겨울을 잎으로 보내다가 봄이 오면 흔적도 없이 사라져 그렇게 오래 사라졌다가 다시 9월이 와야 잎새 없이 꽃대가 올라와 그 붉은 꽃잎을 펼친다. 이 모악산 용천사 산자락을 넘으면 .. 2016.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