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가사의佛家思議291

고창 상원사 2017년 7월 27일. 바람따라 흐르는 길에서 만난 상사화. 꽃이 져야 잎이 돋는 상사화처럼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혹은 만나지 못하였음에도 헤어지는 일이 있는 것이 모두 시절인연법. 그 인연의 길을 따라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곡리 방장산 상원사에 들어섰다. 벡제 성왕 24년 546년 고봉과 .. 2017. 7. 31.
수원 봉녕사 경기도 수원시 광교산 봉녕사. 이번 여행의 마지막 여정지. 1208년 원각국사가 창건하여 성창사라 하였고 1400년에는 봉덕사로 불리다가 조선 예종 원년1469년 혜각국사가 중창불사를 통해 봉녕사로 사명을 바꾸었다. 1979년에는 묘엄스님이 주석하시며 승가대학을 설립하고 비구니 수련도.. 2017. 1. 6.
화성 용주사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 신라 문성왕 16년 854년 갈양사라는 사명으로 창건되었는데 병자호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조선 정조 1790년에 용주사라는 사명으로 새롭게 거듭난 사찰이다. 도차문래(到此門來) 진리의 문안에 이르렀는가. 막존지해(莫存知觧) 분별에서 오는 생각의 걸림이란 이.. 2017. 1. 6.
용인 법륜사 경기도 용인 문수산 법륜사 2005년 무아당 상륜스님이 창건한 사찰이다. 상륜스님은 서울 삼각산 승가사에서 정진하다가 관세음보살을 현몽하고 연꽃 속에서 선인들이 삼매에 들어있는 형국의 땅인 이곳에 법륜을 전하게 되었다고 한다. 대웅전, 범종각 대웅전과 범종각의 지붕은 흥국사.. 2017. 1. 6.
용인 와우정사 경기도 용인시 와우정사 천 강에 뜬 달처럼 붓다가 동안거에 들어있다. 연화산 와우정사. 대한불교 열반종의 본산. 1970년 해월 삼장법사가 남북통일과 민족화합을 위해 세운 호국사찰이다. 사리탑 7층석탑 고운 보살상 세계만불전의 삼존불. 와우정사에 봉안된 이 모든 불상들은 총3천여.. 2017. 1. 6.
이천 영월암 걷는다. 휘청휘청 따라 오는 겨울바람이 싱그러워 행복하다. 경기도 이천시 설봉산 영월암. 나옹선사가 꽂아놓은 은행나무 지팡이가 일주문으로 우뚝 섰다. 이곳은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북악사라는 사명으로 창건한 곳. 이후 조선 영조 50년 1774년 영월대사 낭규가 중창불사를 하면.. 2017. 1. 6.